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태원만의 문제가 아닙니다. <br> <br>서울 구도심에는 이태원 골목과 닮은 곳이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좁을 길을 막고 있는 간판과 야외 테이블들. <br> <br>실태가 어느정도고, 어떻게 바뀌어야 할지 장하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홍대 부근 좁은 골목길, 홍보용 입간판이 여러 개 나와 있고 옷가게 앞에는 매대까지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사람들이 지나가다 건드릴까 봐 모래 주머니로 고정까지 해뒀습니다. <br> <br>차들도 다니는 길이라 시민들은 더 불안합니다. <br> <br>[이지은 / 서울 은평구] <br>"행사 있는 날 차도 왔다 갔다 하고 사람도 많으니까 그럴 때는 모서리로 돌아다니는데. 사람이 많으면 (차에) 부딪칠 수 있고 피하는데 뒤로 넘어가기도 어려움이 있어서." <br> <br>전문가와 함께 점검해보니 현행법상 확보돼야 하는 도로폭 4m에 크게 못 미칩니다. <br> <br>[안형준 / 전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] <br>"(여기는 (입간판이) 나와 있어서.) 원래 4m가 도로 최소폭인데. 입간판이 있어서 보니까 2.4m밖에 안 돼요." <br> <br>경사가 꽤 가파르지만 미끄럼 방지 장치도 없다보니 비오는 날은 더 위험합니다. <br> <br>서울의 또다른 음식 골목.<br><br>밤이 되자 야외 테이블이 겹겹이 도로를 점거합니다. <br> <br>도로를 막는 야외 영업은 불법이지만, 담당 구청이 상권 활성화를 위해 6개월마다 허용해주고 있습니다. <br> <br>강남도 상황은 비슷합니다. <br> <br>식당마다 데크를 만들어 손님을 받고, 포장마차는 도로를 점거한 채 버젓이 운영 중입니다. <br> <br>[시민] <br>"핼러윈 때는 여기도 사람 거의 꽉 찼던 걸로. 길 가다가 (장애물이) 툭 튀어나와 있어서 인도로 갔다가 차도로 다시 돌아서 (갔어요.)" <br> <br>전문가들은 단속도 단속이지만, 성숙한 시민의식을 당부합니다. <br> <br>[안형준 / 전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]<br>"법상으로 만든 최소 도로 폭은 유지해야 하고요. 아무리 장사를 위해서라도 도로를 점거하는 일은 삼가야 합니다." <br> <br>상습 과밀 지역은 '고밀도 위험지구'로 지정해 일정 시간에 통행에 제한을 두는 방안도 검토해볼만 합니다. <br> <br>맘 놓고 걸을 수 있는 거리,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윤재영 권재우 <br>영상편집: 이태희<br /><br /><br />장하얀 기자 jwhite@ichannela.com